역사문제연구소

이야기들

『역사비평』 통권122호 / 2018년 봄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8-03-05 조회수 : 9,169

본문

c878674dc12cd6edd08dbed831c7af34_1520243012_2335.jpg
박정희 시대 경제성장, 정권과 재벌의 동학을 살피다
―1960~1970년대 산업화의 다이내믹스, 주요 산업별 접근
『역사비평』 이번호의 특집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산업화 정책이다.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1960년대 이후 한국 경제성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이 연구들은 한국 경제성장의 이유를 찾기 위해 주로 한국 정부의 경제 정책에 초점을 맞추었고, 공히 성공적인 성장이라는 결론을 내려왔다. 그러나 단순히 수출액의 증가와 성장률이라는 수치만 갖고서는 한국의 경제성장에 다각적인 접근을 할 수 없고, 각각의 산업 분야에 대한 실증적 접근이 필요하다. 정부의 역할과 경제개발계획만 강조한다면 경제성장의 ‘신화’만 써내려갈 뿐이며, 1980년대 초의 경제위기와 안정화 정책, 그리고 산업합리화 정책이 실시된 이유를 찾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번 특집에서는 경제성장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분야였으며 현재 한국 경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철강, 정유, 조선, 자동차, 그리고 면방직업 등 각각의 산업 분야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정부 정책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각 산업 분야의 성장과 시행착오의 과정을 밝히기 어렵다는 점이 공통적인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각 산업 분야를 주도한 특정 기업의 역할과 정치적 요소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 1960년대와 1970년대 한국 경제성장의 특징을 밝히는 데 중요하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이번 한 번으로 결론을 맺을 수 없다. 『역사비평』은 연구가 축적되는 대로 각각의 산업 분야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통해 한국 경제성장 과정의 특징을 밝히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것이다.


여말선초, 연속성의 관점에서 본 왕조교체
―성리학의 이해와 제도 정비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기를 새롭게 조망하기 위한 기획연재는 이번호에도 계속된다. 이번호에는 ‘성리학의 이해와 제도 정비’라는 주제로 세 편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세 편의 논문은 서로 상이한 관점에서 조선 개창의 의미와 성격을 바라보는 듯하지만, 고려시대의 유산을 조선왕조가 완전히 청산한 것이 아니라 계승하고 수용한 측면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첫 번째 논문에서는 조선 개창 찬성파와 반대파의 성리학 이해 정도에 차이가 없고, 나아가 여말선초의 성리학 이해와 16세기 이후 사림의 성리학 이해도 연속의 측면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두 번째 논문은 조선 개창 이후 명의 관복 제도를 도입한 것은 그 이전 원 간섭기의 고려가 당대의 보편문화로서 몽골의 복식을 수용하여 자신의 관복제도로 받아들인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고 보았다. 세 번째 논문은 고려 말 전제개혁으로 기존의 토지지배권은 전면 부정되었으나, 조선 개창 후에도 민의 변정 정책과 노비 관련 법제는 고려 후기의 것을 그대로 계승하는 상황이 나타났음을 지적하였다.


세계적인 탈이념화 추세를 거스른 ‘촛불’의 힘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돌아보며
2017년이 훌쩍 지난 시점에서 지난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기고’를 게재하였다. 1990년을 전후하여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하면서 한국사에서 공산주의 운동사가 연구의 뒷전으로 밀렸던 것과 같이 러시아혁명에 대한 관심과 연구 역시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20세기를 뒤흔든 러시아혁명의 충격과 영향을 모두 지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이루어진 1917년 러시아혁명에 대한 최근 연구성과의 흐름과 경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목할 점은 세계적으로 탈이념화의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면, 한국에서는 그 반대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최근 촛불항쟁을 통해 사회개혁과 변화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필자의 진단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일, 이제라도 바로 잡아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일과 기념식 다시 보기
<역비논단>에 실린 윤대원의 논문(「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일과 기념식 다시 보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일을 확인하고, 1937년에 임시정부에서 그리고 1990년에 대한민국 정부에서 첫 기념식을 개최한 정치적 배경을 고찰하고 있다. 임시정부 수립일인 ‘4월 13일’은 1919년 9월 임시정부에서 국제연맹에 제출하기 위해 편찬한 『한일관계사료집』 4권 3장 「독립 운동에 관한 짧은 역사」를 근거로 한 것이다. 1932년 상하이일본총영사관 경찰부가 이 기록을 참고하여 『조선민족운동연감』에 1919년 ‘4월 13일’에 정부수립을 선포했다고 썼다. 그리고 1967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이 연감을 참고하여 『한국독립운동사』3을 편찬하면서 이후 ‘4월 13일’이 임시정부 수립일이 됐다. 반면에 임시정부는 정부 수립일을 ‘4월 11일’로 인식하고 1937년에 첫 기념식을 가졌다. 이후 1938년, 1942년, 1943년 및 1945년 등 네 차례의 기념식 개최 사실이 임시정부 측 기록과 중국 신문 등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임시정부 수립일이 ‘4월 13일’이 아니라 ‘4월 11일’이란 사실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차례
책머리글 해외 한국학 연구의 질적 도약을위하여 / 박태균
특집: 1960~1970년대 산업화의 다이내믹스, 주요 산업별 접근
철강공업의 설비경쟁과 산업육성 정책 / 이상철
대자본의 정유업 진출경쟁과 정책 견인 / 이정은
조선산업―수출전문산업으로의 극적 전환 / 배석만
자동차산업의 형성과 산업 정책 / 여인만
수출의 확대와 면방직업의 성장 / 서문석
기획: 조선 건국 다시보기, 연속성의 관점에서 본 왕조 교체 ③ 성리학의 이해와 제도 정비
여말선초 성리학의 수용과 그 성격 / 강문식
고려 말 조선 초 관복제의 변화와 문화적 지향 / 김윤정
고려 후기 전민변정과 조선 초기 노비 정책의 의의와 한계 / 박진훈
특별기고 탈이념화된 기억―러시아혁명 100주년 기념을 돌아보다 / 노경덕
기획연재: 근대 우상과 신화의 탄생 ②
비상(非常)의 시대, 비상(飛上)의 시학―이사도라 던컨 / 김성연
문화비평 세대담론 2018, 그리고 영화 <1987> / 천정환
역비논단 ‘김대중기념관’과 기억의 정치학 / 정헌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일과 기념식 다시 보기 / 윤대원
위기감과 자부심 사이―북한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변화 / 이하나
근대 초기 실학의 존재론―실학 인식의 방향 전환을 위하여 / 노관범
기획서평 이영(李領)의 왜구 주체 논쟁과 현재적 과제 / 박경남
서평 더 많은, ‘이름 없는 여/성’의 역사를 위하여 / 양지혜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소현숙, 역사비평사, 2017)
하이브리드한 시각의 하이브리드한 일상 분석 / 염복규
―『제국일본의 생활공간』(조던 샌드 지음, 박삼헌·조영희·김현영 옮김, 소명출판, 2017)
소비자는 무엇으로 사(生/買)는가? / 염운옥
―『소비의 역사』(설혜심, 휴머니스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