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연구소

활동
  • 민중사반
  •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은 2005년 가을에 결성되었습니다. 애초에는 역사문제연구소의 한일민중사 연구 교류를 담당할 단위로서 조직되었는데, 차차 독자적인 반으로 성장하여 이제 한일 교류가 민중사반의 하나의 사업이 될 만큼 성장하였고, 반 산하에도 작은 연구팀들이 만들어져 활동하고 있습니다.

    30여명에 이르는 민중사반원들의 대부분이 한국 근현대사 전공자들이지만, 미술사, 한국문학, 교육학 전공자들도 여기서 활동하고 있고, 반원들의 국적도 한국, 일본, 캐나다, 독일 등으로 다양합니다. 다양한 사람과 주제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이 있다면 그것은 역사적 사실과 사건을 ‘민중’이라는 회로를 거쳐서 다시 본다는 것입니다.

    우리 반에서는 2013년, 그 간 연구성과를 묶어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역사비평사)를 출간하였고, 한일민중사연구 교류의 결과를 정리한 단행본은 2015년 일본에서 『日韓民衆史研究の最前線 -新しい民衆史を求めて』(有志舍)로, 2017년 한국에서 『민중경험과 마이너리티』(경인문화사)로 간행하였습니다.

  • 1950·60년대 연구반
  • 역사문제연구소 1950·60년대 연구반은 60년대 전후, 50년대와 60년대 사이의 변화와 지속에 초점을 맞춰 공동 연구하는 반입니다. 기존에 있던 1950년대 연구반의 발전적 해소의 결과로 만들어진 반으로 2020년 9월 3일 첫 모임을 가졌습니다. 일반적으로 50년대, 60년대처럼 10년 단위로 연구되는 경향 속에서 놓쳐진 부분들이 존재합니다. ‘50년대반’ 50년대를 공부하며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문제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60년대를 함께 볼 때 다르게 파악되는 50년대, 50년대의 맥락 없이는 지나치기 쉬운 60년대를 연속적으로 또 단절적으로 봐야한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새로이 반을 만들었습니다. 1955-1965년을 연구시기로 삼고 있으나 상한과 하한에 큰 제한을 두진 않습니다.

    사회, 보건에서부터 경제, 정치까지 다양한 주제에 관심 있는 반원들이 모여 있는 만큼 특정 자료를 함께 보는 방식의 세미나는 지양합니다. 대신 각자의 문제의식을 보여주는 자료를 소개하거나 글을 발표하는 방향으로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2022년 50,60년대 변화와 지속을 주제로 한 워크숍 개최를 목표합니다. 현재 13명의 반원이 활동 중이며, 함께하실 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박사과정 이상)

  • 1960·70년대 연구반
  • 1960·70년대 연구반은 한국사, 한국문학, 과학사 등의 전공자들이 모여 1960~70년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등을 연구하는 모임입니다.

    우리 반은 연구소 정기 심포지엄 <평등과 불평등의 역설, 유신체제를 묻는다>(2012.10.13)를 준비하고자 2011년 결성한 유신체제 연구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후 1960년대로 연구 대상을 확대하였으며, 개별 연구자가 관심갖는 주제에 대한 각종 자료들을 엮어 발표하는 형태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5년부터는 ‘자본주의 한국 사회 형성’이라는 주제 하에 1년에 두 차례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한독비교사포룸
  •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의 진정한 해결방안은 한반도만의 관점이 아니라 분단 독일을 비교연구하고, 동아시아와 유럽의 맥락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그 해결의 지혜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한독비교사포룸은 한국과 독일의 분단 문제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습니다. 2004년 역사문제연구소와 독일 포츠담 현대사연구센터의 국제학술대회를 시작으로 한국사와 독일사의 비교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매월 월례발표회를 개최하며, 지속적으로 한국과 독일 연구자들의 학술교류모임을 가졌습니다.

    독일 문제와 한반도 문제를 검토하며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서는 여러 가지 노력들, 한국과 독일의 반공교육과 통일교육의 문제, 한국과 독일의 여러 가지 형태의 냉전문화, 트랜스내셔널 역사적 시각 등 다양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망을 모색하려 합니다.

  • 교육사 연구반
  • 역사문제연구소 교육사연구반은 2018년 4월에 결성되었습니다. 이후 매달 1회의 정기적인 모임을 가지면서 새로운 교육사 연구서 및 자료를 읽거나, 연구 주제를 발표하고 토의하는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 8월부터는 역사문제연구소 소속 정식 연구반으로 등록되어 활동 중입니다.

    교육사연구반에서는 좁은 의미의 근현대 한국 교육사 전공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교육사를 주제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일제시기를 시작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개항기, 현대사 등 근현대사 전반으로 시야를 넓혀 가고 있는 중입니다. 현재 약 10여 명의 연구자가 연구반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교육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 상호간의 연구 교류 및 문제의식의 공유, 확장을 통하여 연구반원 개개인의 학문적 성장을 도모하고, 나아가 교육사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합니다.

  • 식민지기 연구반
  • 식민지기 연구반은 일제 식민지 시기 역사 전공자들이 모여 공부하는 모임입니다. 2019년도 정기심포지움을 준비한 '만세후 세미나'에서 비롯하여, 2020년 봄 연구반으로 정비하여 출범했습니다.

    '식민지' 혹은 '근대'라는 시기의 여러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관심사와 문제의식을 지닌 이들이 모였습니다. 식민지기의 역사와 현재와의 접점이라는 감각을 찾으며, 기존 연구의 축적에서 더욱 나아간 전망을 모색하려 합니다. 현재는 '전시체제기' 나아가 '해방전후'를 시야에 두고 자료 강독 및 발표의 형태로 매월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960·70년대 반의 오늘과 내일: 자유로운 분위기 속의 다양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12-16 조회수 : 2,262

본문

1960·70년대 반의 오늘과 내일: 자유로운 분위기 속의 다양성

 

강기천

 

1960·70년대 연구반은 한국의 1960년대와 70년대를 살펴보는 모임으로서 국사, 문학, 과학사 등 여러 전공의 연구자들이 소속되어 있다. 필자가 1960·70년대 연구반에 참여하게 된 것은 20179월부터였다. 2011년에 결성된 유신체제 연구반을 모체로 1960·70년대 연구반은 6년 정도의 기간 동안 시기 별로 공통된 주제나 자료를 정하고 세미나를 진행해 왔으며, 20179월은 남과 북, 그리고 아시아라는 새로운 주제로 세미나를 시작하는 시점이었다. 이때 필자가 느낀 1960·70년대 반의 특징은 다양성과 자유로움이었다. 우선 당시의 세미나 진행 방식은 상당히 자유로웠다. 특별한 자료가 고정되어 있지도 않았고 발제자의 발표 주제 선정에 있어서 제약도 그다지 크지 않았다. 매달 2명의 발제자가 남과 북, 그리고 아시아라는 주제에 어울릴만한 관심 주제를 스스로 선정하고 신문, 잡지, 보고서 등 가용한 자료를 활용하여 발제를 하는 방식이었는데, 정치, 경제, 문화, 과학기술, 문학, 국제 관계 등 다양한 주제의 발제가 있었으며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다양한 관심사와 관점을 토론을 통해 나누며 60·70년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었다. 1년 반 정도 남과 북, 그리고 아시아라는 주제로 진행 된 세미나는 20193월의 워크샵에서 오제연, 김도민, 강기천이 각각 1950-60년대 남한정부의 동아시아 반공연대 추진과 좌절, 남북한의 동남아 중립국을 둘러싼 외교전쟁, 한미 과학기술협력과 기술이전에 대한 발표를 하는 것으로 마무리 짓게 되었다.

 

06cdafc4acc94e899eadb4c5a455a7e1_1576478805_0113.jpg
 

 

20193월부터는 세미나 주제와 방식에 변화를 주게 되었다. 같은 자료를 공유하며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세미나를 진행해 보자는 의견이 모아졌던 것이다. 이에 20193월부터는 전태일 분신 50주년인 2020년에 워크샵을 가지는 것을 목표로 전태일과 그의 시대라는 주제로 새롭게 세미나를 시작하였다. 기간은 약 2년을 잡고 첫 해인 2019년에는 반원들의 공통적인 감각을 제고하기 위해 함께 자료를 읽는 것을 목표로 하고, 둘째 해인 2020년에는 자료읽기와 더불어 워크샵 준비를 위한 개별발제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잡지 신동아를 반원 전체가 같이 읽기로 했으며, 이후 개별발제를 할 때는 공동의 대주제와 연관된 주제를 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전태일과 그의 시대라는 주제에 맞춰 전태일 사망 전후의 시기인 1968~1972년에 발간된 신동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워크샵을 준비하기로 한 것이다. 매달 이어지는 세미나에서 총 3명의 발제자는 2달분씩, 6달분을 발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모두가 같이 신동아라는 공통의 자료를 읽고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높이면서도 다양성과 자유로운 분위기는 이어졌다. 신동아라는 잡지가 정치, 경제, 사회, 외교는 물론이고 문학, 과학기술, 서민의 삶 등 다양한 주제의 기사를 다루었는데, 발제자는 일반적으로 2달분의 신동아에 실린 여러 기사들 중 관심이 가거나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 되는 기사들을 선택하여 발제를 하였고 역시 다양한 관심사와 관점이 발제문에 반영되었던 것이다. 신동아를 같이 읽으며 반원들은 땜장이나 소몰이꾼과 같은 그 시대를 살았던 서민들의 삶부터 1960년대 말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한 진단과 경고, 다가올 대선에 대비한 신민당의 개편과 김대중의 대선 후보 선출, 닉슨 독트린과 한국의 외교, 그리고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글을 읽고 토론을 했으며, 이를 통해 여러 각도에서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를 바라볼 수 있었다.

 

06cdafc4acc94e899eadb4c5a455a7e1_1576478820_203.jpg
 

 

중요한 것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된 방향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소몰이꾼의 삶에서 당시 서민의 팍팍한 삶을, 높아지는 세금과 과세 방법에 대한 논의, 그리고 국민 세금 부담의 증가가 가질 경제적 효과에 대한 우려를 담은 분석으로부터 경제위기로 향하고 있는 대한민국 경제의 흐름을, 기업의 경쟁과 그 속에서 보장되지 못하는 노동 환경, 그리고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는 산업재해에 대한 글에서 노동자들의 열악한 조건과 처우 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곧 전태일과 그의 시대를 묘사할 수 있는 여러 측면의 소재가 되고 있다. 또한 긴장감이 고조되는 국내 정치 상황이나 복잡해지는 냉전과 국제 관계의 양상 등을 통해 대한민국 사회의 구성원들이 느꼈을 위기감과, 기대감, 불안감 등 다양한 감정을 읽어낼 수 있었는데, 이 또한 여러 차원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계속 쌓여만 가는, 끓어오르는 압력밥솥과 같은 한국 사회의 단면들을 보여주는 퍼즐 조각과도 같다. 물론, 달 착륙과 우주개발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까지 어디에 끼어야 할지 모르는 즐거운 여담으로 남아있기는 하다.

 

1960·70년대 반의 프로젝트 전태일과 그의 시대는 현재 진행 중이다. 2019년 자료 읽기가 1972년 정도까지 진행이 되고 나면 본격적으로 워크샵을 준비하는 세미나가 이어질 것이고 202011월 정도에 워크샵을 가질 예정이다. 앞으로 우리가 어떤 내용을 더 읽고 전태일과 그의 시대라는 주제에 어떤 살을 붙여서 워크샵에 이를 것인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하지만 워크샵이 마무리 되는 그 때까지, 또 워크샵 이후 새로운 주제나 관심사로 내일의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에도 여러 생각을 겹칠 수 있는 지금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다양성이 남아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