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연구소

활동
  • 강좌
  • 역사문제연구소는 다양한 주제와 열린 토론 속에서 전문연구자와 일반 시민이 함께 역사를 고민할 수 있는 강좌를 마련합니다. 창립 이래 연구소는 진보적 학문연구의 성과를 널리 알리기 위한 활동을 벌여왔으며, 연구작업이 역사연구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공유해야 하는 것이라는 차원에서 대중활동에 주력해 왔습니다.

    1987년 9월 ‘한국사교실’을 시작으로, 역사문제연구소의 강좌는 당대의 사회적 쟁점에 대응하는 주제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한국사교실’은 온라인 교류가 없던 시절부터 역사인식의 대중화와 민주화를 위한 중요한 창구로 기능했습니다. 강연을 토대로 한 단행본이 기획 출판되기도 하였으며, 참가자들은 ‘바른 역사인식과 실천을 위한 모임(바실모)’과 같은 모임을 결성, 매주 공부모임을 진행하며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역사문제연구소의 강좌는 매해 새로운 주제와 기획으로 마련되며, 다양한 세대의 연구자 및 시민들이 함께 호흡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역사 강좌를 필요로 하는 곳에 찾아가 함께 강좌를 기획하고 진행하기도 합니다. 언제든 여러분의 제안과 참여를 기다립니다.

  • 역사기행
  • 역사문제연구소는 근현대 역사의 현장을 직접 체험하며 현재적 의미를 살피는 역사기행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합니다. 강화도 답사에서 시작된 역사문제연구소의 ‘역사기행’은 다양한 방식과 주제로, 다양한 문제의식을 지닌 연구자들과 함께 진행되어 왔습니다.

    역사기행은 새로운 차원에서 역사적 공간을 바라보고, 나아가 공간에 얽힌 ‘역사’의 의미를 물으며, 그 시공간을 채워 온 사람들의 삶을 살펴보려 합니다. 함께 걸어갈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 토론마당
  • 역사문제연구소에서는 매년 2∼4 차례 비정기적으로 토론마당을 열어 역사학과 인접 학문 분야의 주요 쟁점을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토론마당은 단지 아카데미즘 안에서만 전개되는 토론을 지양하고 학술적인 쟁점과 논의들과 현실 사회와의 고리를 마련할 수 있는 가교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토론마당에 역사 연구자만이 아니라 시민 여러분들께서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시기를 기대합니다.

  • 특별기획
  • 역사문제연구소는 2013년 정전 60주년 특별기획 “역사, 평화를 이야기하다”를 시작으로, 특별주제 아래 세미나, 영화상영회, 역사기행, 토론회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는 연속기획사업을 진행했습니다.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보다 많은 이들과 역사를 고민하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2014년에는 베트남 파병 50주년 행사 “베트남 전쟁, 다양한 경계 넘기”를, 2015년에는 해방70주년 연속기획 “해방”을 진행했습니다. 2017년에는 연속기획 “혁명”이 진행됩니다.

  • 기획모임
  • 역사문제연구소는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우리 역사와 현실 속에서 회원 여러분과 함께 인식하고 고민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한 여러 형태의 모임을 기획하고 지원합니다.

    모임은 역사연구자들과 시민들이 함께 만나고 공부하고 토론하는 장입니다. 책과 영화도 함께 보고, 대화도 나누며 사람들을 알아가는 모임의 자리는 모든 분에게 열려 있습니다.

[세미나 모집] 역사와 예술 세미나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7-08-08 조회수 : 2,460

본문

'역사와 예술 세미나'를 안내합니다. 


함께 읽을 책은 수전 벅 모스김정아 역,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문학동네, 2004 입니다. 

첫 세미나는 8월 14일 월요일 저녁7시 역사문제연구소 1층에서 진행합니다. 

읽어오실 분량은 위 책의 제1부입니다. 

기본적으로 책을 찬찬히꾸준히 읽을 분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참가비는 없습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들은아래 신청양식 사항을 복사해 kistory@kistory.or.kr로 신청해주세요.

 

공간의 제약 때문에 15명으로 인원을 제한합니다.


 <신청양식>

이름 연락처 이메일 참여 동기

 

 

 

서문 중에서_

벤야민은 자신의 저작이 역사 서술의 실천에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라고 말했다그가 설정한 목표는 현재라는 개념의 신화적 무매개성을 파괴하는 것이었고그가 채택한 방식은 현재를 문화의 연속체에 삽입함으로써 현재가 연속체의 정점임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기원들의 성좌(constellation)을 발견함으로써 역사의 연속체를 폭파하는 것이었다산업문화 시대에 의식은 신화의 상태 혹은 꿈의 상태로 존재하며이러한 상태에 대항하는 유일한 해독제는 역사 지식이다그러나 현재를 신화로부터 구해내기 위해서는 특별한 역사 지식이 필요한데 특수한 역사 지식을 개시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버림받고 잊혀진 역사 지식은 잔존 문화 속에 파묻혀 보이지 않는다역사 지식이 이렇듯 감춰져 있는 것은 권력자들에게 그만큼 무용한 것이기 때문이다.

 

"벤야민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은 "역사"가 수행하는 정당화 기능 내지 이데올로기 기능을 완전히 제거한다그러나 벤야민은 역사를 포기하면서도 거기에서 역사의 문화적 내용물을 구해낸다역사는 현실을 기만적으로 변형하는 개념 구조지만역사의 문화적 내용물은 현재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비판적 지식의 유일한 원천이기 때문이다역사의 문화적 내용물을 되살리는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바로 문화 전달이다벤야민을 통해서 우리는 문화 전달이(고급 문화와 대중 문화 모두)무엇보다 중요한 정치행동임을 깨닫게 된다물론 문화 자체가 주어진 현실을 변혁할 수는 없다그러나 역사의 기억은 변혁을 향한 집단적정치적 의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역사의 기억이야말로 변혁의 유일한 자양분이다.

 

[이 게시물은 역사문제연구소님에 의해 2017-09-06 21:12:21 알림에서 복사 됨]